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알바생 필수 정보: 주휴수당 완벽 가이드

by 올웨이즈인포 2025. 6. 29.
반응형

 

주휴수당

✅ 주휴수당이란?

아르바이트생도 받을 수 있는 법적 권리!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‘1주 개근 시 하루치 임금’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  • 목적: 근로자의 휴식 보장·의욕 고취
  • 근거: 「근로기준법」 제55조

근로기준법 확인하기


👩‍🎓 아르바이트생도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소정근로시간(계약서 명시 주당 근로시간)만 채우면 정규직과 동일
  • 5인 미만 사업장·4대 보험 미가입 알바생도 대상

📋 주휴수당 지급 조건

  1.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
  2. 한 주 개근 (지각·조퇴는 OK, 무단결근·무단연차·무단휴가 불가)
  3. 유급 연차 사용 시 개근으로 인정

💰 계산법 완벽 해설

기본 공식: “1일 평균 근로시간 × 시급”
※ 1일 평균 근로시간 = 주 총 근로시간 ÷ 5

계산 예시

시급 9,860원, 주 20시간 근무 → 1일 4시간
주휴수당 = 4시간 × 9,860원 = 39,440원

월급제 근로자

통상임금 ÷ 정해진 주간근로시간 × 1일 근로시간

최저임금위원회 바로가기


🔍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& 세금

  • 인터넷 주휴수당 계산기로 간편 확인
  • 실제 수령액은 4대 보험·소득세 공제 후 차감

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


⚖️ 주휴수당 vs 휴일근로수당

  • 주휴수당: 실제 근무 없이 개근 조건만 충족하면 지급
  • 휴일근로수당: 공휴일·주휴일에 실제 출근 시 추가 지급

🛑 미지급 시 대처 가이드

  1. 사업주에게 설명 요구 & 지급 요청 (내용증명 권장)
  2. 고용노동부 신고: ☎1350 또는 온라인 임금체불 진정
  3. 증거 자료 준비: 계약서·급여명세서·출퇴근 기록
  4. 민사소송 고려 (시간·비용 검토)
  5. 사업주 처벌: 최대 2천만 원 벌금·2년 이하 징역

고용노동부 홈페이지 바로가기


🔮 주휴수당, 앞으로 어떻게 될까?

  • 폐지 논의 중: 아직 확정 전, 다양한 대안 검토 단계
  • 지속적 관심 필요: 고용노동부 발표 최신 정보 확인

🙏 마무리

주휴수당은 알바생의 정당한 권리입니다.
1주 15시간 이상 개근만으로도 받을 수 있으니, 꼭 확인하고 놓치지 마세요!


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최소 근무 시간은?

주당 15시간(계약서 명시 소정근로시간)

Q2. 어떤 사유로 못 받나요?

무단결근·무단휴가·연차 승인 없이 결근

Q3. 계산이 어려우면?

“1일 평균 근로시간 × 시급” 공식 또는 계산기 활용

Q4. 미지급 시?

사업주 요청 → 노동부 신고 → 소송 검토

Q5. 폐지 논의 현황?

아직 확정 아님, 노동부 발표 주시

반응형